저는 가끔씩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찍어 유튜브에 올리곤 합니다. 또는 PC 화면 녹화 프로그램으로도 동영상을 편집해 업로드하곤 하는데요. 특히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촬영하면 주변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음(?)까지 포함되어 저장됩니다. 그래서 팟인코더나 곰믹스로 음소거를 한 후, 다시 곰믹스로 배경음악을 넣고 동영상 업로드를 하곤 했는데요. 문제는 저처럼 사양이 낮은 노트북이나 고물이 된(?) PC에서 고해상도를 지원하는 휴대폰 동영상을 편집하다 보면 PC가 랙(?)에 걸리거나, 멈춤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겁니다. 이럴 땐 PC를 탓 하지 마시고 촬영된 동영상을 휴대폰에서 그대로 유튜브에 업로드해 보세요. 그리고 편하게 PC에서 동영상을 수정하면 되는데요.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저작권없는 음원을 동영상 편집기..
PC에서 이미지 편집을 할 때 종종 사진이나 이미지 확대가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요. 이럴 때 저는 포토샵이나 포토줌이라는 이미지 확대 프로그램을 사용했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웹 서핑 중 사진이나 이미지를 확대해 주는 아주 훌륭한 웹 사이트를 발견했습니다. 일본 도쿄에 서버를 둔 waifu2x라는 곳인데요. 사진 몇장을 갖고 waifu2x에서 테스트해 보니 포토줌보다 훨 좋은 것 같더군요. ☞ waifu2x 바로가기 사진이나 이미지 확대가 필요한 경우 위 링크 페이지에 접속하면 열리는 첫화면인데요. 확대할 사진이나 이미지를 이미지 선택: URL 입력란에 온라인 주소를 입력하거나, 파일 선택 버튼을 누르고 PC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불러온 후 스타일: 은 이미지 파일 유형으로 지정하고, 노이즈 감소: 와..
요즘 유튜브를 방문해 보면 직캠 등 휴대폰으로 촬영한 동영상들이 많이 올려져 있던데요. 휴대폰 카메라 해상도가 많이 좋아져 올려진 동영상의 질도 HD급으로 전문 캠코더 못지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내가 찍은 동영상을 온라인에서 공유 시 노출이 되면 안 되는 부분이 있을 텐데요. 가령 사람 얼굴이나, 이름, 자동차 번호 등 개인정보 부분이나 그외 필요에 의해 동영상 일정 부분에서 모자이크 처리할 필요가 있을 겁니다. 저는 그동안 이런 부분을 팟인코더를 이용하여 꼼수로 어렵게 편집을 하곤 했었는데요. 유튜브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누구나 쉽게 필요한 부분을 모자이크 처리할 수 있는데, 한번 알아 보도록 하죠.1.먼저 편집할 동영상이 준비되어 있다면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거나, 유튜브에서 직접 로..
TV 프로그램을 시청 중 배경음악이 나올 때... 멜로디는 귀에 익은데 노래 제목이 생각나지 않는 경우가 있죠. 특히 요즘 예능 프로그램들을 보면 많은 배경음악이 사용되던데, 제목이 생각나지 않는다면 어떤 방법으로 알아낼 수 있을까요? 첫번째, 아는 지인이나 옆사람에게 물어보아 제목을 알아낼 수도 있겠고... 두번째, 배경음악 멜로디의 가사 내용을 알고 있다면 포털이나 가사검색 사이트를 통해 제목을 알아낼 수도 있습니다. 세번째는 ☞ 이전 포스팅에서 소개해 드렸던 휴대폰의 네이버 앱이나 다음 앱을 실행하여 음악 검색 기능을 이용하면 제목을 알아낼 수 있는데요. 위 방법들 보다 좀 더 간편하고 편안한 방법이 있어 소개해 드립니다. 먼저 ☞ 다음 메인 페이지로 이동하여 검색 창 입력란에 시청했던 TV 프로그..
본인이 촬영한 동영상을 유튜브에 업로드하는 분은 다들 아시는 내용일 텐데요. 유튜브에 저작권이 있는 배경 음악을 올리면 자동 필터링이 되거나, 또는 이후에 라도 지메일로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 신고가 제기되였습니다 라는 내용의 메일을 받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내용의 메일은 유튜브 계정에는 아무 문제 없지만 유튜브에서 수익을 올리는 분이라면 해당 동영상 콘텐츠로는 수익을 기대할 수 없거니와, 기분 또한 찝집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그래서 유튜브는 이전부터 업로더를 위해 무료 음원을 제공해 왔는데요.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로 접근하는 방식을 알아 보도록 하죠.(참고 영상) 1.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유튜브를 방문하거나, 유튜브에서 직접 로그인하면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프로필 아이콘이 표시되는..
세계 최고의 검색 포털...구글,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google.co.kr로 접속하여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하려하면 임시로 성인인증을 하거나, 구글 계정이 성인으로 인증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는 google.co.kr 환경에서는 세이프서치가 도입되면서 선정적이거나 심의에 맞지 않는 정보는 청소년에게 유해한 정보로 판단하여 검색에서 제외시키기 때문인데요. 제경우는 크롬으로 인터넷 접속을 하면 구글에 자동 로그인되어 성인인증을 할 필요가 없지만, 구글 계정에 로그인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MS 엣지로 접속하여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면 성인인증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흔히 사용하는 방법으로 ☞ 미국 구글로 접속하거나, ☞ google.com으로 접속해 성인인증없이 검색하곤..
유튜브에서 찾을 수 없는 동영상을 네이버 TV캐스트나 다음 TV팟에서 검색하면 찾을 수 있는 영상들이 있는데요. 예를 들어 국내 공중파나 케이블, 종편에서 방영되었던 프로그램들은 네이버 TV캐스트나 다음 TV팟에서 검색하면 1~3분짜리 하일라이트 동영상을 검색하고 시청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나 다음에 올라온 하일라이트 영상 중에서 PC에 저장하고픈 동영상이 있을 겁니다. 가령 저는 손흥민의 골장면이나, 강정호의 홈런 동영상 등은 두고 두고 보고 싶은 마음에 때때로 PC에 내려 받곤 하는데요. 네이버 TV캐스트나 다음 TV팟에 올라온 동영상을 내려 받는 한가지 팁을 알아 볼까 합니다. 네이버, 다음 동영상 다운로드 방법은 몇가지가 있으나, 귀찮은 다운로드 프로그램 설치없이 온라인 웹 사이트를 이용하..
크게 논란이 되었던 가습기 살균제 성분이 이번에는 생필품인 치약에도 들어가 있다는 뉴스 보도가 오늘 기사화되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은 미국식약청에 일반의약품으로 인증받기 위해 제출한 자료와 제품리스트를 확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하는데요. 아래 이미지 파일로 첨부된 아모레퍼시픽의 제품리스트를 보시고, 사용중이거나, 보관중인 치약은 폐기 또는 교환 및 환불하시길요. ☞ 인터넷 기사 링크 가습기 살균제 성분 검출된 아모레퍼시픽 11개 제품
TV 시리즈와 영화 등 동영상 콘텐츠 스트리밍 서비스로 유명한 넷플릭스가 인터넷 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았네요. 패스트닷컴이라는 페이지로 넷플릭스 가입 여부와 상관없이 누구나 무료로 모든 디바이스 및 브라우저에 상관없이 패스트닷컴에 접속만 하면 인터넷 속도를 측정해 줍니다. ☞ 패스트닷컴 바로가기 아래 샷은 PC로 접속한 모습인데요.속도 측정이 끝나면 친절하게도 스피드테스트닷넷이라는 사이트에서도 속도 측정을 비교해 보라고 하는군요. 또한 페이지 왼쪽 하단 물음표 아이콘을 누르면 패스트닷컴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 형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해 보기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으면 누구나 무료로, 로그인없이도 지상파는 물론 Mnet, tvN 등 케이블 방송, JTBC, MBN 등 종편, SPOTV, SBS Sports 등 스포츠 채널 등등,,,약 50개의 채널을 고화질로 시청할 수 있는 사이트가 있어 소개합니다. AQ Stream이라는 사이트이구요. 링크는 이 페이지 하단에 걸어 놓을 건데요.서버를 보니 미국 샌 프란시스코로 나와 있는데, 이전에 가끔씩 소개했었던 실시간 tv 사이트들 보다 훨씬 뛰어난 화질으로 PC나 모바일에서 실시간 TV를 시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샷은 폰으로 접속한 모습을 찍은 겁니다. 왼쪽 3선 아이콘을 누르면 채널 목록을 열 수 있구요. 오른쪽 토글 버튼으로는 배경 화면을 어둡게, 또는 밝게 설정할 수도 있네요. 모바일 환경에선 ..
예전에 비해 인터넷 환경이 바뀌면서, 특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려는데, 접속은 안 되고 아래와 같은 차단 안내 메세지로 열리는 걸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오늘 글 제목은 인터넷익스플로러(이하 IE로 표기)사용자가 위 샷처럼 차단된 페이지를 쉽게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정했는데요. 얼마전 모 인터넷 기사를 읽어 보니 올 5~6월 쯤이면 웹 브라우저 점유율 시장에서 구글 크롬이 IE를 추월할 것이라는예측이 나왔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IE의 점유율이 작년 상반기 기준 80%대를 넘고 있고, 아는 지인들에게왜 IE를 사용하고 있는가? 라고 물어 보면 그냥 예전부터 사용했기 때문에 IE가 편하다는 이유가 대부분이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포스팅의 주제를 IE만을 사랑(?)하는 분들께 초점을 맞추었는데요.IE로..
웹 서핑의 기본 팁 하나 간단하게 알아 봅니다. 온라인에서 자료를 구하려 하거나, 어떤 이유로든 웹 서핑을 하다 보면 외국어로 된 웹 페이지를 만나게 되는데요. 만약 크롬으로 접속했다면 페이지가 로드된 후 페이지를 우클릭하고 열린 메뉴에서 한국어(으)로 벅역 탭을 누르거나, 주소 표시줄 오른쪽의 번역 옵션 아이콘을 누르면 구글 번역 서비스로 페이지 전체가 번역됩니다. 또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했다면, 페이지를 우클릭하고 열린 메뉴에서 Bing 번역 서비스 탭을 누르면 새 탭으로 페이지가 번역되는데요. 그런데 문제는 외국 웹 페이지도 우클릭 금지 페이지가 다수 존재하고 있고, 접속한 웹 브라우저에 따라서 번역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있을 텐데요. 이럴 때는 구글 번역기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웹 페이..